1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따른 안전교육 계획 수립 및 운영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교과별 요소 추출
교과에서 우선적으로 반영하고, 부족한 경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활용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안전' 관련 단원 적극 활용(추후 안내)
교과 : 국어, 도덕, 과학, 사회, 기술·가정, 실과, 체육, 미술, 정보, 환경, 보건 등
근거 : 「학교 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교육부 고시 제 2017-121호)
2 )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내실 운영
1 ) ‘부산119안전체험관’과 연계한 안전교육 확대
유치원은 119체험관으로 직접 신청
2 )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교육 실시
[신규사업]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연계 심폐소생술 교육
3 ) 소방, 해양, 재난 등 안전전문기관과 연계한 ‘학교로 찾아가는 안전교육’ 지원(추후 공문으로 안내)
4 ) 학생·학부모가 함께하는 안전교육 체험 프로그램 운영
1 ) 교직원 등 안전교육 원격직무연수 지원
2 ) 교직원 대상 안전교육 체험 프로그램 운영
3 ) 방사능, 지진 등 관련 분야 ‘전문가 초청 교직원 연수’ 지원 (추후 공문으로 안내)
1 ) 학교 안전 강화를 위한 예산 지원
2 ) 재난 등 안전교육 강사비 지원
구분 | 세부 추진 사항 | 추진 시기 | 비고 |
---|---|---|---|
교육지원청 | 학생 안전교육 추진 계획 점검 | 3월 | |
단위학교 | 안전교육 계획 수립 및 학교교육계획서 반영 | 2월 | |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계획 수립 | 2월 | ||
심폐소생술 교육 실시 중간 보고 | 11월 | ||
학교 안전교육 실적 보고 | 8, 12월 | 추후 교육부 공문에 의함 | |
심폐소생술 교육 실시 최종 보고 | ’19.1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