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유치원평가 기본계획

홈 교원지원유치원 평가유치원평가 기본계획

근거

  • 유아교육법 제19조 및 유아교육법 시행령 제20조, 제21조, 제22조
  • 시도교육청 제5주기(2020~2022) 유치원 평가 지원 안내(교육부 유아교육정책과-1217, 2020. 2. 26.)
  • 2022년도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운영계획(2022. 1. 1.)

목적

  • 유치원 평가 운영 내실화로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 유치원 자체평가를 통한 유치원 현장의 자율성 및 책무성 강화
  • 평가 결과 환류로 학부모의 알 권리 충족 및 만족도 제고

내용

평가 대상 및 기간
  • 대상 : 전체 공․사립유치원

    다행복유치원은 다행복학교 자체평가로 갈음함(달산유, 연산유, 송정유, 오션유, 금곡나래유)

  • 기간 : 2022. 3. 1. ~ 2023. 2. 28.(1년)
평가 방법
  • 유치원 자체평가: 정량, 정성평가
    • 정량평가: 유치원 운영에 대한 체크리스트(충족 또는 미충족) 활용
    • 정성평가: 유치원 운영에 대한 종합 의견 서술
  • 평가자
    • 유치원 전 교원(전임 원장(감), 겸임 원장(감), 교육과정 교사)
    • 유치원 자체평가위원회 위원(학부모, 외부위원): 공개 선발(※단, 비공개 개별 평가용 설문 참여 및 결과 관리)
평가 영역 및 지표
  • 4개 영역 16개 지표 32개 항목으로 구성
    • 교원: 4개 평가 영역 모두 평가
    • 학부모, 외부위원(유치원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건강 ·안전 영역만 평가
  • 2022학년도 유치원 평가 영역 및 지표
2021학년도 유치원 평가 영역 및 지표
평가 영역 평가 지표(항목수) 평가 영역 평가 지표(항목수)
Ⅰ. 교육과정 등 1-1. 교육계획 수립(2) Ⅲ. 건강 ·안전 3-1. 시설 및 환경(5)
1-2. 일과 운영(2)
3-2. 건강 및 안전 증진(2)
1-3. 교수 ·학습 및 평가(2)
3-3. 급 ·간식 건강 및 안전(3)
1-4.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1)
3-4. 등 ·하원 안전(2)
1-5. 방과후 과정 운영(1)
Ⅱ. 교육환경 및 운영관리 2-1. 놀이공간의 다양성(1) Ⅳ. 교직원 4-1. 교직원 전문성(3)
2-2. 시설 ·설비의 적합성(1)
4-2. 교직원 업무지원(2)
2-3. 놀이자료의 구비 및 관리(1)
4-3. 교직원 복지(1)
2-4. 행 ·재정 관리(3)
평가 단계 및 일정
평가 단계 및 일정
단계 시기 내용 비고
준비 및 운영 3월
  • 유치원 평가 기본계획 수립 및 안내
  • 유치원 평가 ·검토 위원회(컨설턴트) 구성
유아교육진흥원
4월
  • 유치원 평가 담당자 및 관리자 연수 실시
  • 유치원 평가 매뉴얼 개발 ·보급
  • 유치원 자체평가위원회 구성
  • 유치원 자체평가계획 수립 및 계획서 제출
  • 유치원 평가 맞춤형 컨설팅 참여(~11월)
유치원
유치원→유아교육진흥원
5~9월
  • 유치원 평가 검토위원(컨설턴트) 연수 실시
  • 학부모, 외부위원 연수 실시
  • 유치원 평가 담당자 역량강화 연수
  • 유치원 평가 맞춤형 컨설팅 지원(~11월)
유아교육진흥원
실행 10~11월
  • 유치원 자체평가 실시
  • 유치원 자체평가 결과보고서 작성 ·심의 ·제출
유치원
유치원→유아교육진흥원
11~12월
  • 유치원 자체평가 결과보고서 검토
    (정보공시 등 관련 자료 활용)
  • 유치원 자체평가 검토 결과 송부
유아교육진흥원
정리 및 환류 12월
  • 유치원 평가 만족도 참여
유치원
  • 사례 공유 및 일반화
유아교육진흥원
‘23년 1~2월
  • 2023학년도 유치원 교육계획 수립 시 반영
  • 유치원 평가 결과서 유치원 홈페이지 탑재
유치원
  • 유치원 평가 결과 분석 및 정책 반영
교육지원청
‘23년 4월
  • 유치원 평가 결과서 유치원알리미(정보공시) 탑재
유치원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