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북부교육소식

홈 열린행정북부교육소식
북부교육소식 게시판 상세보기 테이블
덕포여중의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을 소개합니다~
작성자 덕포여자중학교 등록일 2022.07.13

[요약]

덕포여자중학교(교장 안명희)즐겁게 배우고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공동체라는 학교비전에 따라 나, , 우리, 자연환경과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1학기 자기개발시기인 712() 1~2교시에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창의적체험활동과 연계하여 1학년은 우리학교 정원 생태도감 만들기, 2학년은 우리마을 환경정화 줍깅(부산도서관 코스), 3학년은 우리마을 환경정화 줍깅(강선대 코스)봉사활동으로 학년별 사전 협의를 통해 희망을 반영하여 운영하였다. 2기 다행복나눔학교로서 밖으로는 줍깅 봉사활동을 통해 우리마을 환경 정화에 기여하고, 안으로는 생태도감 만들기 봉사활동을 통해 우리학교 정원의 생태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 생태환경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

 


[세부내용]

덕포여자중학교(교장 안명희)즐겁게 배우고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공동체라는 학교비전에 따라 나, , 우리, 자연환경과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1학기 자기개발시기인 712() 1~2교시에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창의적체험활동과 연계하여 1학년은 우리학교 정원 생태도감 만들기, 2학년은 우리마을 환경정화 줍깅(부산도서관 코스), 3학년은 우리마을 환경정화 줍깅(강선대 코스)봉사활동으로 학년별 사전 협의를 통해 희망을 반영하여 운영하였다.


1학년 우리학교 정원 생태도감 만들기봉사활동을 위해 사전활동으로 학교정원 구역 나누기 활동을 하여 학교정원 지도를 우선 제작하고 각 사이트를 조사할 학생들을 배분하였다. 언제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온라인 버전의 생태도감으로 만들기 위해 패들렛 페이지(우리학교 정원 생태도감)도 개설하였다. 페이지 구성은 봉사활동 소개 및 양식 안내, 필수활동인 학교 실외 정원 A구역 생태도감, B구역 생태도감, C구역 생태도감, 선택활동인 학교 실내 생태도감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전에 일주일간 전교사의 협조를 얻어 학교정원에 식물 팻말을 정비하였다. 봉사활동 당일에는 1교시에 각 반 배정 구역으로 나가서 구역 내 생물들을 조사하고 한 가지 생물을 선택하여 사진을 찍었다. 운동장 활동 시 반장과 과학환경부장 학생은 학급 구성원이 조사하는 생물이 가능한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면서 리더십을 발휘했다. 2교시에는 각자 선택한 생물에 대해 크롬북으로 검색하여 이론 조사를 추가로 하고 우리학교 정원 생태도감 패들렛 페이지에 접속하여 맡은 생물의 생태도감(생물분류, 생태, 학교정원 내 관찰장소, 활동소감)을 작성하여 탑재하는 활동을 하였다. 필수활동을 마친 학생들은 선택활동으로 학교 실내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글을 탑재할 수 있도록 활동 반경을 넓혔다. 학생들은 각자 맡은 구역에서 구슬땀을 흘려가며 열심히 조사 활동을 하였고 교실로 돌아와서는 크롬북으로 추가 조사 활동을 하여 생태도감을 만들었다. 학생들의 협업 결과는 온라인 버전의 우리학교 정원 생태도감 패들렛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학년과 3학년은 우리마을 환경정화 줍깅봉사활동으로 운영하였다. 사전활동으로 학년부 협의회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곳은 배제하고 학년별 줍깅 코스를 정하였다. 2학년은 부산도서관 코스로, 3학년은 강선대 코스로 결정되었다. 협의회 중 생태환경데이 줍깅 봉사활동 시 어깨띠를 착용하는 것이 봉사활동 인식에 좋겠다는 의견이 나와서 각 반별로 4개씩 어깨띠를 사전 제작하였다.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제작하지 않은 이유는 과도한 어깨띠 제작은 오히려 환경에 부담을 줄 수 있겠다는 의견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학급별로 반장, 학급부반장, 생활부반장, 과학환경부장 학생이 대표로 어깨띠(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 우리마을 줍깅)를 둘렀고 21조로 팀을 이루어 한 사람은 집게를, 다른 한 사람은 봉지를 들고 줍깅 코스로 걸어 나갔다. 7월의 무더위 속에서도 우리마을을 위해 기여한다는 생각으로 줍깅 봉사활동에 최선을 다하는 아이들의 모습에 동행 지도한 교사들을 비롯하여 이웃 주민들까지 감동했다.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 다음 날인 713()에는 2022학년도 덕포여중 창의적교육과정 함께 만들기(활동소감 쓰기) 패들렛 페이지에 접속하여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하여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우리 학교 정원 내 식물들과 곤충들을 관찰할 수 있어서 좋았고, 이렇게 많은 생물들이 있는지 몰랐는데 이제 다른 생물들의 이름도 궁금해졌다. 자연을 조금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게 되었고, 다른 구역도 조사하고 관찰해보고 싶었다. 다른 친구들이 올린 생물들도 처음 보는 것들도 많고 알고 있던 생물도 있었는데 처음 본 생물에 대해 잘 알게 되었고 원래 알던 생물에 대해서도 더욱 깊이 알 수 있게 되어서 뿌듯한 활동이었다.”,“우리 학교에 있는 식물들을 찾으며 돌아다닐 때 우리 학교에 있는 식물이 이렇게 많고 아름다웠나 싶을 정도로 너무 예뻤고 우리 학교의 아름다운 정원을 느낀 느낌이어서 좋았고 학교에 대한 아름다움도 많이 느꼈던 하루가 된 것 같다.”, “아침에 학교를 나서서 쓰레기를 줍는다고 해서 처음에는 당황스럽고 하기 싫기도 했는데, 막상 친구들과 조를 짜서 쓰레기를 줍고 함께 우리 동네를 둘러보니 훨씬 괜찮았습니다. 평소에 동네 주변에 쓰레기들이 많았었는데 우리가 직접 줍고 치워서 하교할 때는 조금 더 기분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이런 활동들은 굉장히 실천하기도 좋은 것 같아 계속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1-2교시에 학교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하니까 무단투기로 인한 문제점을 더 잘 인지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누군가가 버린 쓰레기를 주워서 그 자리가 깨끗해지면 내 기분도 좋아지고 환경에도 도움이 되어 뿌듯하고 기분이 좋았다. 환경의 소중함을 알고 모두가 환경을 아껴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등등 학생들의 주옥같은 소감문들로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의 의미가 더욱 깊어지는 것 같다.

 

 

첨부파일
다운로드 횟수
  • 북부교육뉴스(2022.7.13.)- 덕포여중의 생태환경데이 봉사활동을 소개합니다..pdf   ( 4회 ) 미리보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