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적응력 강화
| - 교육과정 연계 교육복지 프로그램 운영
- 학습동기 부여 프로그램
- 취약계층 기초과목 교육 강화 「꿈자람 교실」 운영
- 진로지도 및 직업교육, 문화·예술·체육활동 프로그램
- 동아리 활동(자원봉사, 학습, 독서 등)
- 자존감 향상, 일상생활습관개선, 복지나눔 등 소집단 프로그램 운영
- 교육복지 '더행복교실' 운영
· 운영 유형 : 학급형(담임교사), 동아리형(교직원, 교육복지사)
|
학생 사례관리 강화
| - (중점학교) 집중지원학생 통합사례관리
- 집중지원 대상학생별 사례관리 계획 수립·지원
→ 개별상담, 가정방문, 교내·외 사례관리 회의(팀구성) - 교육복지위원회 또는 교내 사례회의를 통한 학생 맞춤 지원(위기개입비 등)
- (지원학교) 교육취약 위기학생 적극적 발굴 및 지원 연계
- 교육지원청 교육복지안전망 의뢰, 학생지원 모니터링
|
가족기능 강화
| - 가족기능 강화 프로그램 운영
- 봉사활동, 문화체험, 자녀양육 및 부모역할 강화 교육 지원 등
|
지역네트워크 활성화
| - 지역 유관기관 네트워크 확충 및 통합사례회의 운영
-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및 연계사업 추진
|